전체 포트 확인
# netstat -nap
LISTEN 상태의 포트확인
# netstat -nap | grep LISTEN
특정 포트 확인
# netstat -nap | grep 포트번호
* 외부 -> 내부 (Inbound) TCP 포트 8081를 1번 방확벽 규칙으로 추가
# iptables -I INPUT 1 -p tcp --dport 8081 -j ACCEPT
* 내부 -> 외부 (Outbound) TCP 포트 8081를 1번 방확벽 규칙으로 추가
# iptables -I OUTPUT 1 -p tcp --sport 8081 -j ACCEPT
저장
# service iptables save
or
# /usr/libexec/iptables/iptables.init save
* 규칙번호로 삭제
# iptables -D INPUT 1
* 추가한 규칙으로 삭제
# iptables -D INPUT -p tcp --dport 8081 -j ACCEPT
# iptables -D OUTPUT -p tcp --sport 8081 -j ACCEPT
옵션 1
-A (--append) : 새로운 규칙을 추가.
-D (--delete) : 규칙을 삭제.
-C (--check) : 패킷을 테스트.
-R (--replace) : 새로운 규칙으로 교체.
-I (--insert) : 새로운 규칙을 삽입.
-L (--list) : 규칙을 출력.
-F (--flush) : chain으로부터 규칙을 모두 삭제.
-Z (--zero) : 모든 chain의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 값을 0으로 만듬.
-N (--new) : 새로운 chain을 만듬.
-X (--delete-chain) : chain을 삭제.
-P (--policy) : 기본정책을 변경.
옵션 2
-p 프로토콜 타입 지정
-s 출발지 어드레스
-d 목적지 어드레스
-sport 출발지 포트 지정
-dport 목적지 포트 지정
-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지정
-j 타겟에 대한 규칙을 지정 (ACCEPT : 수용 / REJECT : 거부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firewall 사용 할 경우
* 포트 상태 확인
# iptables -nL
포트 열기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포트/tcp
# firewall-cmd --reload
포트 닫기
#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remove-port=포트/tcp
# firewall-cmd --reload
* firewall 파일 위치 (수동으로 적용할 경우)
/etc/firewalld/zones/public.xml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telnet을 이용해 외부 서버의 포트 상태 확인
# telnet [서버 주소] [포트]
telnet 설치 안되어있을 경우는 설치 필요
# telnet localhost 80
-bash: telnet: command not found
* yum으로 telnet client 설치
- 설치 패키지 정보 확인
# yum info telnet
- telnet 설치 (root 계정으로 설치)
# yum install telnet
'[ 서버 & DB 관련 ]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 apache 설치 및 설정 파일 위치, php 설치 (0) | 2021.03.03 |
---|---|
centos7 날짜, 시간 변경 (timedatectl) (0) | 2020.11.10 |
리눅스 설치 패키지 확인 (0) | 2020.08.20 |
pip 오류 - No module named _internal.cli.main (0) | 2020.08.20 |
centOS7 php5.6 설치 (0) | 2020.08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