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본 앱 설정
- APP_NAME=Laravel
→ 앱 이름.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도 됨. - APP_ENV=local
→ 현재 환경. local(개발), production(운영), testing 등 환경에 맞게 설정하세요. - APP_KEY=base64:(생략)
→ 앱 암호화 키. php artisan key:generate 명령어로 생성. 절대 노출하면 안 됨. - APP_DEBUG=true
→ 디버그 모드. 개발 환경에서는 true, 운영환경에선 반드시 false로 변경. - APP_TIMEZONE=Asia/Seoul
→ 서버 시간대. 서울이 맞으면 유지하세요. - APP_URL=http://localhost
→ 앱 URL. 운영 환경이면 실제 도메인 주소로 변경.
로케일 설정
- APP_LOCALE=en
→ 기본 언어. 한국어면 ko로 바꾸세요. - APP_FALLBACK_LOCALE=en
→ 기본 언어 번역 없을 때 사용할 언어. ko 등으로 설정 가능. - APP_FAKER_LOCALE=en_US
→ 테스트용 더미 데이터 생성 시 사용되는 언어.
유지보수 관련
- APP_MAINTENANCE_DRIVER=file
→ 유지보수 모드 저장 방식. 기본적으로 file 사용. 필요 시 database 등 변경 가능. - # APP_MAINTENANCE_STORE=database
→ 유지보수 모드 저장소 주석 처리됨.
PHP CLI 서버 워커
- PHP_CLI_SERVER_WORKERS=4
→ PHP 내장 서버 워커 수. 보통 개발용.
보안 관련
- BCRYPT_ROUNDS=12
→ bcrypt 해시 라운드 수. 기본값 12 권장.
로그 설정
- LOG_CHANNEL=stack
→ 로그 채널 (stack, single, daily 등). - LOG_STACK=daily
→ daily 로그 보관 방식. - LOG_DEPRECATIONS_CHANNEL=null
→ deprecated 함수 로그 채널. - LOG_LEVEL=debug
→ 로그 레벨. 운영 환경에선 보통 error나 warning 권장. - LOG_DAILY_DAYS=10
→ daily 로그 보관 일수.
데이터베이스
- DB_CONNECTION=mysql
→ 사용 DB 종류(mysql, pgsql, sqlite 등) - DB_HOST=127.0.0.1
→ DB 서버 주소 - DB_PORT=3306
→ DB 포트 - DB_DATABASE=db
→ DB 이름 - DB_USERNAME=db
→ DB 사용자명 - DB_PASSWORD="123456"
→ DB 비밀번호 (따옴표 필요 없음, 보통 그냥 입력)
가이드:
- DB 관련 값들은 실제 DB 환경에 맞게 변경하세요.
- 보안상 비밀번호 평문 노출 주의.
세션 설정
- SESSION_DRIVER=file
→ 세션 저장 방식 (file, database, redis 등) - SESSION_LIFETIME=120
→ 세션 유지 시간(분) - SESSION_ENCRYPT=false
→ 세션 암호화 여부 - SESSION_PATH=/
→ 세션 쿠키 경로 - SESSION_DOMAIN=null
→ 세션 쿠키 도메인
방송, 파일 시스템, 큐, 캐시
- BROADCAST_CONNECTION=log
→ 이벤트 방송 드라이버 (log, pusher, redis 등) - FILESYSTEM_DISK=local
→ 파일 저장소 (local, s3, public 등) - QUEUE_CONNECTION=database
→ 큐 드라이버 (sync, database, redis 등) - CACHE_STORE=database
→ 캐시 저장소 (file, database, redis 등)
Memcached / Redis
- MEMCACHED_HOST=127.0.0.1
→ Memcached 서버 주소 - REDIS_CLIENT=phpredis
→ Redis 클라이언트 (phpredis, predis) - REDIS_HOST=127.0.0.1
→ Redis 서버 주소 - REDIS_PASSWORD=null
→ Redis 비밀번호 - REDIS_PORT=6379
→ Redis 포트
메일 설정
- MAIL_MAILER=log
→ 메일 드라이버 (smtp, log, sendmail, mailgun 등) - MAIL_HOST=127.0.0.1
→ 메일 서버 호스트 - MAIL_PORT=2525
→ 메일 서버 포트 - MAIL_USERNAME=null
- MAIL_PASSWORD=null
- MAIL_ENCRYPTION=null
- MAIL_FROM_ADDRESS="hello@example.com"
→ 발신 이메일 주소 - MAIL_FROM_NAME="${APP_NAME}"
→ 발신 이름
가이드:
- 실제 운영 시 SMTP 서버 정보로 바꿔야 메일 발송 가능.
AWS S3 설정
- AWS_ACCESS_KEY_ID=
- AWS_SECRET_ACCESS_KEY=
- AWS_DEFAULT_REGION=us-east-1
- AWS_BUCKET=
- AWS_USE_PATH_STYLE_ENDPOINT=false
가이드:
- AWS S3 사용하지 않으면 비워두면 됨. 사용 시 값 채워야 함.
Vite 설정
- VITE_APP_NAME="${APP_NAME}"
→ Vite 빌드 도구에서 사용할 앱 이름 변수.
요약 및 바꿔야 할 부분
항목변경 필요 여부 | 권장 사항 |
APP_ENV | 운영 시 production 으로 변경 |
APP_DEBUG | 운영 시 반드시 false 로 변경 |
APP_URL | 실제 배포 URL로 변경 |
APP_LOCALE | 한국어 서비스면 ko 로 변경 |
DB_ 관련 | 실제 DB 정보로 정확히 설정 |
SESSION_DRIVER | 필요 시 Redis 등으로 변경 가능 |
LOG_LEVEL | 운영 시 error 또는 warning 추천 |
MAIL_ 관련 | 실제 SMTP 정보로 변경 |
AWS_ 관련 | S3 사용 시 설정, 아니면 빈 값 유지 |
'[ Web 관련 ] > Laravel 12.5.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라벨 기본 HTTP 상태 메시지 (0) | 2025.06.27 |
---|---|
라라벨 POST 데이터중 필요한 항목만 선별해서 DB에 저장하는 샘플 (0) | 2024.06.25 |
라라벨 암호화 (0) | 2024.06.24 |
라라벨 엑셀 다운로드 업로드 (0) | 2024.06.15 |
Cannot use object of type stdClass as array 오류 (0) | 2024.05.24 |